-
목차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기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것이다. 부모는 아이의 감정이 무엇이든 그것을 부정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슬프거나 화가 났을 때 "그런 일로 왜 우니?" 또는 "그건 네가 잘못한 거야"라고 반응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부정당했다고 느끼게 된다.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게 되고,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다.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을 잃어버리고 슬퍼할 때 "그래, 정말 속상하겠다. 너의 소중한 장난감이 사라져서 정말 아프겠구나"라고 말해주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이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또한, 아이가 실망하거나 화가 났을 때 부모가 차분하게 "엄마는 네가 왜 그렇게 화가 났는지 이해해. 어떤 점이 가장 속상했어?"라고 물어보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할 기회를 얻는다.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공감할 때는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 대화가 필요하다. 아이의 시선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아이가 표현하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중요하다. 또한, 아이가 감정을 설명할 때 부모가 집중해서 듣고, 고개를 끄덕이거나 눈을 마주치는 등의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자존감이 향상된다.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면서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이가 친구와 다툰 후 속상해할 때 "그 친구가 나빴네. 다음부터 그 친구와 놀지 마"라고 충고하기보다 "그 상황에서 너는 어떤 기분이었어?"라고 물어보며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부모에게 공감받는 경험을 하게 되면 자존감이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인정하기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인정해 주는 것이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부모가 아이의 의견을 진지하게 받아들일 때 아이는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인정받는다는 느낌을 받는다.
부모는 아이의 의견이 비록 틀렸더라도 무시하거나 비난하지 말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나는 오늘 친구랑 노는 게 싫어"라고 말했을 때 부모가 "왜 그런 말을 해? 친구랑 잘 지내야지"라고 반응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의견이 존중받지 못했다고 느끼게 된다. 대신, "그래, 오늘 친구랑 놀고 싶지 않은 기분이구나. 무슨 일이 있었어?"라고 묻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모가 아이의 의견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이 가치 있다고 느끼고 자존감이 높아진다.
또한, 아이가 부모와의 대화에서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할 때 부모가 진지하게 듣고 반응해 주는 태도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이가 "나는 오늘 학교에서 친구가 내 연필을 가져갔어. 그래서 화가 났어"라고 말했을 때 "그 친구가 너의 연필을 가져가서 속상했겠구나. 그런데 너는 어떻게 반응했어?"라고 물어보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게 된다. 부모가 아이의 의견을 인정하고 존중할 때 아이는 자신의 감정과 의견이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되고, 자존감이 향상된다.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부드럽게 수정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나는 시험 공부 안 해도 잘 볼 수 있어"라고 말했을 때 "공부 안 하면 안 되지"라고 단호하게 말하기보다 "네가 자신 있는 것 같아서 좋지만, 조금 더 준비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올 거야"라고 긍정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이 존중받는 동시에 부모의 조언을 받아들이며 자존감을 키울 수 있다.
긍정적인 피드백과 칭찬 제공하기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 중 하나는 긍정적인 피드백과 칭찬을 제공하는 것이다. 부모가 아이의 작은 성취나 긍정적인 행동을 발견하고 즉각적으로 칭찬할 때, 아이는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느끼게 된다.
칭찬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잘했어"라고 단순히 말하는 것보다 "오늘 장난감을 스스로 정리했구나. 정말 기특해"라고 구체적으로 칭찬하면 아이는 자신이 어떤 행동에서 인정받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칭찬할 때는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시험에서 100점 맞아서 대단해"라고 칭찬하기보다는 "시험 준비를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가 나왔구나. 네 노력이 정말 멋져"라고 과정에 초점을 맞춘 칭찬이 자존감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
아이의 행동에서 긍정적인 부분을 찾고 인정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가 실패했을 때도 "잘 안 됐지만 노력한 게 정말 대단해"라고 말해 주면 아이는 실패하더라도 자신의 노력에 가치를 느끼게 된다. 또한, 아이가 실수했을 때 비난하기보다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라고 질문하면 아이는 자신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기회 제공하기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자신의 결정에 자신감을 가진다. 부모는 아이가 자신의 선택을 통해 결과를 경험하고 책임지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놀이 시간을 결정하도록 하거나, 옷을 고르게 하는 등 작은 선택부터 시작해 점차 더 중요한 결정까지 맡기면 아이는 자신의 판단력을 키울 수 있다.
부모가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고 지지해 줄 때 아이는 자신이 중요한 존재임을 깨닫게 된다. 또한, 아이가 실수했을 때 이를 문제 삼기보다 "괜찮아, 다음에는 다르게 해 보자"라고 격려하면 아이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감을 갖고 도전하게 된다. 아이가 자신의 선택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 아이의 자존감은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자녀 교육 &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육아 심리학 개념 (0) 2025.03.14 아이의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도록 돕는 방법 (0) 2025.03.13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10가지 핵심 원칙 (2) (0) 2025.03.13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10가지 핵심 원칙 (1) (0) 2025.03.13 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 연령별 학습 방법 (0) 2025.03.13